SHAPplot 썸네일형 리스트형 구글 애널리틱스 로우데이터를 이용해 구매고객 예측모델 만들기(3/3) - SHAP 모델 해석 저번 포스트를 통해 구글 애널리틱스 로우데이터를 활용해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해보았다. 머신러닝 모델은 단지 성능, 예측력만 중요한 것이 아니다. 예측력이 아무리 좋아도 모델 결과에 대해서 설명할 수 없다면 어떠한 액션도 이끌어 낼 수 없기 때문이다. 따라서, 의사결정자가 모델의 결과를 신뢰할 수 있도록, 그리고 구체적인 액션을 취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XAI인 SHAP을 이용해 모델 해석을 진행하였다. XAI 정확성이 높은 모델일 수록, 모델의 내부 구조는 복잡하여 내부를 알 수 없다.(==블랙박스) XAI(Explanable AI, 설명가능한 인공지능) 이러한 모델을 해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이야기한다. Model-Agnostic method 모델 종류에 구애받지 않는 XAI의 방법론을 이야기한다. 원.. 더보기 이전 1 다음